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액면분할이란? 주식 수가 갑자기 늘어나는 이유

by 경제여기 2025. 8. 1.
반응형

액면분할이란? 주식 수가 갑자기 늘어나는 이유

액면분할이란? 주식 수가 갑자기 늘어나는 이유

 

시작하기에 앞서...

<경제여기>는 경제 및 투자와 관련된 주제의 학습용 콘텐츠를 지향합니다.
이 글은 투자에 대한 학습과 이해를 돕기 위한 스터디 콘텐츠로, 특정 자산의 매수나 매도를 권유하는 목적이 아닙니다.
투자 결정은 각자의 판단과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하며, 충분한 정보 탐색과 검토가 필요합니다.

 

 

주식 시장에서 "액면분할"이라는 용어를 들어보셨나요?

과거 삼성전자가 1주당 주가가 250만원 정도인 시절이 있었습니다.

지금은 1주에 7만원선선에 거래되고 있는 이 주식에 무슨 일이 벌어진 걸까요?

오늘은 액면분할의 개념부터 그 의미, 투자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액면가란?

액면분할을 이해하려면 먼저 "액면가"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액면가란 회사가 주식을 처음 발행할 때 정하는 1주의 기본 가격을 말합니다.

이는 회계상 기준으로 사용되는 숫자이며, 실제 시장에서 거래되는 주가와는 다를 수 있습니다.

 

 

액면가의 범위는 어떻게 되나요?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액면가가 500원, 1,000원, 5,000원 등으로 정해지며, 기업이 정관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가장 흔한 예는 5,000원 액면가로, 많은 전통 기업들이 이 금액을 기준으로 주식을 발행해왔습니다.

최근에는 100원, 500원 등 소액 액면가를 선택하는 스타트업이나 IT 기업들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액면가와 시가의 차이

예를 들어 어떤 회사의 액면가가 5,000원이라 하더라도, 주식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시가)은 3만 원일 수도 있습니다.

이처럼 액면가는 회계상의 기준일 뿐, 실제 시장에서의 가치는 기업의 수익성, 성장성, 시장 수요 등에 따라 결정됩니다.

 

 

액면분할이란?

액면분할이란 한 주의 액면가를 나누어 주식 수를 늘리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액면가 5,000원인 주식을 10분할하면 액면가가 500원이 되고, 주식 수는 10배로 늘어납니다.

주식의 총 가치는 변하지 않지만, 소액 투자자도 접근하기 쉬운 가격으로 변하게 됩니다.

 

예시로 쉽게 이해하기

예를 들어 삼성전자 주식이 1주에 200만 원일 때, 액면분할을 50:1로 하면 1주가 4만 원이 되고, 1주를 보유하던 사람은 50주를 가지게 됩니다.

투자 금액은 그대로지만, 단위 주식 가격이 낮아져 더 많은 사람들이 투자에 관심을 가질 수 있습니다.

 

액면분할이 투자자에게 주는 영향은?

 

심리적 접근성 증가

 

주당 가격이 낮아지면서 투자자들이 더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됩니다.

이는 특히 사회초년생이나 주식 입문자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거래량 증가와 유동성 개선

주식 수가 늘어나면서 거래량이 증가하고, 시장 유동성이 좋아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단기적으로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기업 가치에는 변화가 있을까?

중요한 점은 액면분할이 기업의 실적이나 본질적인 가치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단지 "보여지는 가격"만 낮아지는 것입니다.

 

액면분할과 액면병합의 차이

  • 액면분할: 주식 수 증가, 단가 하락
  • 액면병합: 주식 수 감소, 단가 상승

이 둘은 반대 개념으로, 투자 전에 어떤 조치인지 꼭 확인해야 합니다.

 

 


마치며...

 

액면분할은 주식 가격을 낮춰 투자 접근성을 높이고 거래를 활발하게 만들 수 있는 도구입니다.

하지만 액면분할 자체가 기업 가치를 바꾸는 것은 아니므로, 단순히 가격이 낮아졌다고 해서 무작정 매수하기보다는 기업의 재무 상태와 성장 가능성을 함께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