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S와 PER로 저평가주 고르는 방법은?
주식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질문은 "이 주식이 지금 싸게 거래되고 있는가?"입니다.
이를 판단할 때 자주 쓰이는 핵심 지표가 EPS(주당순이익)과 PER(주가수익비율)입니다.
특히, 예상 EPS와 예상 PER을 활용하면 적정주가까지 계산할 수 있어 투자 판단에 큰 도움이 됩니다.
이 글에서는 EPS와 PER의 개념, PER의 종류, 적정주가 계산법, 그리고 저평가주를 찾는 방법을 차례로 알아보겠습니다.
시작하기에 앞서...
<경제여기>는 경제 및 투자와 관련된 주제의 학습용 콘텐츠를 지향합니다.
이 글은 투자에 대한 학습과 이해를 돕기 위한 스터디 콘텐츠로, 특정 자산의 매수나 매도를 권유하는 목적이 아닙니다.
투자 결정은 각자의 판단과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하며, 충분한 정보 탐색과 검토가 필요합니다.
EPS와 PER의 기본 개념
EPS(주당순이익)
EPS는 Earnings Per Share의 약자로, 기업이 1주당 벌어들이는 순이익입니다.
EPS = 당기순이익 ÷ 발행주식 수
예: 연간 순이익 1,000억 원, 발행주식 1억 주 → EPS = 1,000원
EPS가 높을수록 주당 이익이 많지만, 주가 수준과 함께 봐야 의미가 있습니다.
PER(주가수익비율)
PER은 Price to Earnings Ratio로, 주가가 EPS의 몇 배인지 보여줍니다.
PER = 주가 ÷ EPS
예: 주가 5,000원, EPS 1,000원 → PER = 5배
PER이 낮으면 이익 대비 주가가 저렴하다는 의미지만, 업종 특성과 성장성에 따라 적정 PER은 달라집니다.
PER의 종류
- 히스토리컬 PER (Historical PER)
- 과거 확정 실적 기준
- 장점: 안정적 / 단점: 미래 반영 불가
- 12개월 선행 PER (Forward PER)
- 향후 1년 예상 EPS 기준
- 장점: 성장 기대 반영 / 단점: 전망치 변동 가능
- 트레일링 12개월 PER (Trailing PER)
- 직전 4분기 실적 합산
- 장점: 최신 실적 반영 / 단점: 계절성 업종 왜곡 가능
예상 EPS와 예상 PER로 적정주가 계산하기
적정주가는 예상 EPS × 예상 PER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 방식은 주가의 '이론적 가치'를 산출하는 간단한 방법입니다.
적정주가 = 예상 EPS × 적정 PER
계산 예시
- 내년 예상 EPS: 1,200원
- 동일 업종 평균 PER: 12배
- 적정주가 = 1,200 × 12 = 14,400원
현재 주가가 10,000원이라면, 이론적으로 약 44%의 상승 여력이 있다는 뜻입니다.
계산 시 주의할 점
- 예상 EPS는 확정치가 아님 → 애널리스트 전망치, 회사 가이던스를 참고
- PER은 업종 평균이나 과거 평균을 참고 → 성장주 vs 가치주에 따라 다름
- 단순 계산이므로 반드시 재무제표·뉴스·경기 상황을 함께 검토해야 함
EPS와 PER로 저평가주 찾는 3단계
- 업종 평균 PER보다 낮은 종목 선별
→ 상대적 저평가 여부 확인 - EPS 성장성 체크
→ 최근 3~5년간 EPS 추이로 장기 성장 가능성 판단 - 적정주가 계산 후 현재 주가와 비교
→ 상승 여력 vs 리스크 평가
마치며...
EPS와 PER은 단순히 저평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넘어, 예상 EPS와 적정 PER을 곱해 적정주가를 계산하는 데도 유용합니다.
다만, 전망치와 시장 상황은 변동 가능성이 크므로, 항상 다양한 지표와 함께 검토해야 합니다.
주식 투자는 싸면서도 성장할 기업을 찾는 과정입니다.
PER 외에 PBR, ROE 등 다른 가치평가 지표도 함께 활용하면 더욱 정확한 투자 판단이 가능합니다.